풍요로운 자연과 생태계 자연을 살리는 환경 만들기
그린메쉬월
- HOME
- >
- 공법소개
- >
- 도로공법
- >
- 그린메쉬월
그린매쉬월 옹벽
- 개요 및 적용범위
-
-
격자모양의 아연도금 철선으로 벽면에 작용하는 토압력과 성토중에 부설한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의 조합에 의해 안정을 확보하는 공법으로 벽면 경사는 수직-1:0.5정도이고, 그 이하의 경사인 1:0.5-1:1.2에 대해 계단형 식생보강토공법이 있음.
- 도로, 택지조성, 교대, 공원, 재해복구공사

- 친환경성
-
- 식생이 가능하여 환경친화적이며 주변 환경과도 조화를 이룸(벽배면에 식생매트 부착)
- 내구성
-
- 아연도금(450g/㎡)으로 부식 및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내용연수도 커지며, 보강재와 벽면재가 일체화 되어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하다.
- 시공성
-
- 공장제품으로 품질면에서 신뢰성이 높음.
- 각 부재의 조합으로 시공되어 공기가 단축됨.
- 시공이 각단하여 특수한 기계나 기술을 필요로 하지않음.
- 자재의 경량화로 인력 시공이 가능
블록식 보강토옹벽
- 개요 및 적용범위
-
- 소형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전면 마감처리를 하여 블록 배면에 지오그리드를 설치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법.
- 도로, 택지조성, 하천변, 철도, 교대보강

- 친환경성
-
- 식생불가
- 색상의 변화로 옹벽 축조가 가능하나, 블록마감으로 현장주변의 자연과 조화되지 않는다.
- 내구성
-
- 블럭자중에 의한 균열 발생 우려되고 전면 배수로 수압에 대한 안정성이 결여되어 집중강우시 붕괴 사례가 있음.
- 보강재인 지오그리드의 변형 발생 가능성이 크다.
- 시공성
-
- 곡선부 처리 수월
- 다짐 작업이 충실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벽체의 변위를 유발할 수 있음
- 공장 제품으로 품질이 안정
- 블럭배면으로 배수처리되어 안정성이 떨어짐
판넬식 보강토옹벽
- 개요 및 적용범위
-
- 벽면재에 수직인 콘크리트 판넬을 설치하고, 보강재로 띠모양의 보강재(STRIP)를 사용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법.
- 도로, 철도, 단지조성시 토류역할

- 친환경성
-
- 벽면의 녹화는 불가능
- 판넬 조립된 형상 자체가 무늬역할을 하나, 주변의 자연과 조화되지 않는다.
- 내구성
-
- 보강재와 전면판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진동 및 지진시 전면판 파괴가 우려된다.
- 시공성
-
- 공장제품으로 품질이 안정
- 제품의 고정 중량이 무거워 크레인 등 중기나 조립기구 등이 필요해 시공에 열악하다.
- 판넬의 연결구조 사이로 배수처리
철근 CON'C 옹벽
- 개요 및 적용범위
-
- 현장타설 con’c로 기초와 벽체를 시공하여 구조체의 강성으로 토압에 저항하도록 하는 공법
- 안정지반의 절, 성토 도로부

- 친환경성
-
- 콘크리트 사용으로 주변환경과 조화되지 못하고 식생 활착이 어려워 생태계가 자연성 회복 기능이 상실됨.
- 옹벽 표면의 배수 구멍의 노출로 미관이 불량함.
- 내구성
-
-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조건이 불량한 경우나 부등 침하에 의한 역학적 불균형 발생시 균열 등 구조적 취약성 노출
- 시공성
-
- 거푸집과 비계등 가설 작업이 필요
- 기후조건에 제한을 받으며 높이에 따른 경제성에도 제한이 있음.
- 콘크리트 타설 후 충분히 양생된 후에 뒷채움재 공사를 해야 하므로 공사지연이 초래됨.
개비온 옹벽
- 개요 및 적용범위
-
- 아연도금 철선을 육각형의 벌집구조로 제작하여 망과 망을 연결 설치한 후 내부에 조약돌 또는 깬돌을 채워 조립한 옹벽 시설 구조물로 안정을 확보하는 공법.
- 사방시설, 사면보호구조물, 하천시설물

- 친환경성
-
- 채움돌 사이의 공간에 자연적으로 흙이나 식물 뿌리 등이 공극을 채워 식물의 활착을 기대할 수는 있으나, 활착기간이 많이 소요됨.
- 내구성
-
- 아연도금(275g/㎡)된 철선으로 수명을 보장할 수는 있으나 쇄석등의 이탈이 우려된다.
- 시공성
-
- 개비온 구조물은 자연배수로 수압이 발생되지 않는다.
- 동절기 공사도 가능하고 공기가 빠른 편이다.
RSS옹벽
- 개요 및 적용범위
-
- 강성의 HDPE 그리드 내부 결속효과를 통해 토체의 구조적 불안정 요소가 배제될 수 있도록 하여 경사도 70도까지 옹벽이나 사면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
- 도로, 제방, 붕괴사면 등

- 친환경성
-
- 식생백을 이용해 녹화를 통한 녹지 및 산림지 조성
- 장기적으로 토양 및 지하수 오명에 대한 오염원이 된다.
- 내구성
-
- HDPE그리드로 직사광선에 약하며 탄성계수가 작다.
- 돌출부,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찢김등의 파손이 쉬우며 파손부위의 복구가 어렵다.
- 시공성
-
- 개비온 구조물은 자연배수로 수압이 발생되지 않는다.
- 동절기 공사도 가능하고 공기가 빠른 편이다.